한글날, 세종대왕의 훈민정음과 세계에서 가장 효율적인 한글 자판 이야기
카톡에서 'ㄱㄱ', 'ㅇㅋ'가 오가는 사이, 자동완성은 띄어쓰기를 대신 챙겨 줍니다. 빠르게 흘러가는 말들 속에서도 우리가 매일 막힘없이 읽고 쓰는 힘의 바탕에는 한글이 있습니다. 한글날이 다가오면 자연스레 떠오르는 세종대왕의 뜻을, 오늘 우리의 자판과 이어 보려 합니다.이 글에서는 훈민정음이 태어난 이유와 원리, 28자에서 오늘의 24자로 이어진 변화, 10월 9일이 된 까닭, 그리고 자판에서 드러나는 한글의 구조적 강점을 중심으로 차분히 풀어갑니다.목차백성을 위한 문자, 세종대왕의 애민정신한글의 창제 원리와 철학적 구조자판에서 드러나는 한글의 강점억압과 부활, 한글의 역사적 여정국경일로서의 위상과 사회적 의미디지털 시대, 한글의 새로운 과제마무리 – 한글에 담긴 마음을 기억하며참고한 자료와 더 읽을거..
2025.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