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2

한글날, 세종대왕의 훈민정음과 세계에서 가장 효율적인 한글 자판 이야기 카톡에서 'ㄱㄱ', 'ㅇㅋ'가 오가는 사이, 자동완성은 띄어쓰기를 대신 챙겨 줍니다. 빠르게 흘러가는 말들 속에서도 우리가 매일 막힘없이 읽고 쓰는 힘의 바탕에는 한글이 있습니다. 한글날이 다가오면 자연스레 떠오르는 세종대왕의 뜻을, 오늘 우리의 자판과 이어 보려 합니다.이 글에서는 훈민정음이 태어난 이유와 원리, 28자에서 오늘의 24자로 이어진 변화, 10월 9일이 된 까닭, 그리고 자판에서 드러나는 한글의 구조적 강점을 중심으로 차분히 풀어갑니다.목차백성을 위한 문자, 세종대왕의 애민정신한글의 창제 원리와 철학적 구조자판에서 드러나는 한글의 강점억압과 부활, 한글의 역사적 여정국경일로서의 위상과 사회적 의미디지털 시대, 한글의 새로운 과제마무리 – 한글에 담긴 마음을 기억하며참고한 자료와 더 읽을거.. 2025. 10. 9.
[친환경 에너지 시리즈 6편] 탄소중립 2050과 우리 삶 속 에너지 전환의 길 1편: 왜 지금 친환경 에너지로 바꿔야 할까? 화석연료 시대의 끝과 기후 위기의 해답2편: 태양광과 풍력, 가장 앞선 재생에너지의 현재3편: 수소와 바이오에너지,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의 가능성4편: 원자력 발전, 친환경일까 위험일까5편: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기술과 인프라요즘 갑자기 더워진 날씨, 예측할 수 없는 폭우를 보며 ‘기후변화가 정말 심각하구나’라고 느껴본 적 있으신가요? 2050년, 우리는 정말 탄소를 0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탄소중립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국가와 국제사회가 함께 지켜야 할 약속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좋은 일’이라며 박수 칠 일이 아니라, 우리가 타는 자동차, 쓰는 전기, 먹는 음식까지 바꾸는 거대한 변화입니다. 이번 호기심도서관에서는 한국과 국제사회의 탄소중.. 2025. 8. 31.
[친환경 에너지 시리즈 5편]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기술과 인프라 1편: 왜 지금 친환경 에너지로 바꿔야 할까? 화석연료 시대의 끝과 기후 위기의 해답2편: 태양광과 풍력, 가장 앞선 재생에너지의 현재3편: 수소와 바이오에너지,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의 가능성4편: 원자력 발전, 친환경일까 위험일까태양광과 풍력, 수소와 바이오에너지, 그리고 원자력까지. 지금까지 살펴본 다양한 에너지원이 탄소중립을 향한 중요한 축이라면, 이제는 그 모든 에너지를 뒷받침할 ‘기술과 인프라’가 필요합니다. 태양이 아무리 뜨거워도 밤에는 전기를 만들 수 없고, 바람이 아무리 세게 불어도 그 바람이 멎으면 발전소는 멈춥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밤에 사용하는 전기는 어디서 오는 걸까요? 이번 호기심도서관에서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적·사회적 기반을 살펴보겠습니다.목차똑똑한 전력망.. 2025. 8. 29.
[친환경 에너지 시리즈 4편] 원자력 발전, 친환경일까 위험일까 1편: 왜 지금 친환경 에너지로 바꿔야 할까? 화석연료 시대의 끝과 기후 위기의 해답2편: 태양광과 풍력, 가장 앞선 재생에너지의 현재3편: 수소와 바이오에너지,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의 가능성어릴 적 밤하늘에 은은히 빛나는 발전소 불빛을 보며 저 불빛이 어떤 방식으로 우리 집 전기를 만들어줄까 궁금했던 기억,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친환경 에너지라 하면 흔히 태양광과 풍력을 떠올리지만, 여기에 ‘원자력’이 끼어드는 순간 이야기는 복잡해집니다. 배출이 거의 없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내놓는다는 장점이 있는 동시에, 대형 사고와 핵폐기물이라는 무거운 그늘도 함께 따라오기 때문이죠. 과연 원자력은 기후위기의 해답이 될까요, 아니면 끝내 지울 수 없는 위험일까요? 이 양면성을 이번 호기심 도서관에서 차근차근 살펴.. 2025. 8. 27.
지구가 멈춘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만약 어느 날 갑자기 지구가 멈춘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침에 눈을 떴는데 해가 뜨지 않고, 시간이 멈춘 듯 세상이 정지되어 있다면요? 우리가 매일 아무렇지 않게 지나치는 이 지구의 움직임은 사실 매우 거대한 에너지와 질서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움직임이 멈춘다면, 우리의 삶은 과연 어떻게 달라질까요?우리가 사는 이 지구는 시속 약 1,670km의 속도로 자전하고 있습니다. 이는 총알보다 빠른 속도예요. 그 위에 서 있는 우리에겐 아무런 진동도 느껴지지 않지만, 사실상 지구는 매 순간 ‘고속 회전 중’인 셈입니다. 이 엄청난 속도를 우리가 체감하지 못하는 이유는 모든 것이 함께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죠. 바로 ‘관성’이라는 물리 법칙 덕분입니다. (관성: 움직이는 물체는 외부 힘이 작용하지 .. 2025. 8. 26.
[친환경 에너지 시리즈 3편] 수소와 바이오에너지,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의 가능성 1편: 왜 지금 친환경 에너지로 바꿔야 할까? 화석연료 시대의 끝과 기후 위기의 해답2편: 태양광과 풍력, 가장 앞선 재생에너지의 현재 혹시 출근길에서 수소차를 본 적 있으신가요? 혹은 집에서 나온 음식물 쓰레기가 전기로 바뀔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셨나요? 태양광과 풍력이 재생에너지의 주력으로 자리 잡았다면, 이제는 수소와 바이오에너지가 그 빈칸을 메워줄 차세대 주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늘은 호기심 도서관에서 이 두 가지 에너지가 어떻게 우리의 미래를 바꿀지 함께 탐구해보겠습니다.목차수소에너지, 과연 미래의 슈퍼연료가 될까?세계는 왜 수소에 열광할까?바이오에너지, 쓰레기를 에너지로 바꾸는 마법한국과 세계의 바이오에너지 현황환경적 쟁점과 한계기술 혁신과 미래 가능성수소에너지, 과연 미래의 슈퍼연료.. 2025. 8. 25.
반응형